대한유방검진의학회

home
국민건강!유방암조기발견

원고의 성격 및 종류

유방 검진과 관련된 독창성 있는 원고이어야 하며 원고의 종류는 원저, 종설, 증례보고, 임상화보 (pictorial essay), 포커스, 편집인 논설, 편집인에게 보내는 글과 답 등으로 한다. 제출된 원고와 동일 또는 유사한 원고를 타학술지에 게재할 수 없으며, 재출간 (multiple publication)은 Uniform Requirements for Manuscripts Submitted to Biomedical Journals (Ann Intern Med 1988:108:258-265)에서 규정한 요건을 갖춘 경우에만 가능하다.

사용언어

한글 또는 영문으로 작성하고 의학영어의 번역은 대한의학협회발간 의학용어집에 준한다. 한글원고의 경우 한자를 병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번역어가 없는 의학용어, 고유명사, 약품명, 단위등 은 원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번역어가 있으나 의미전달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용어가 최초로 등장할 때 번역어 다음에 소괄호 속에 원어로 표기하고 그 이후로는 번역어만 사용한다. 영문약어는 최소화하며 최초 사용시 원어를 풀어서 표기한 다음 괄호에 약어를 쓴다.

원고의 제출

원고와 사진화일을 편집위원장에게 이메일로 제출한다.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차주희 교수
전화: 02-3010-5995
전자주소: jhcha@amc.seoul.kr

서울 노원구 한글비석로 68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안진경 교수
전화: 02-970-8290
전자주소: jkan0831@eulji.ac.kr

원저작성에 있어서 일반적 참고사항

1) 초 록:
한글과 영문으로 페이지를 달리하여 작성하며 한글은 600자 이내, 영문은 200단어 이내로 한다. 논문의 목적, 대상 및 방법, 결과 그리고 결론을 간단명료하게 기술하고 구체적 데이타를 제시한다.

2) 서 론:
연구의 목적을 간결하고도 명료하게 제시하며,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을 포함한다.

3) 대상 및 방 법:
연구의 계획, 대상 및 방법을 순서대로 기술한다. 대상 환자의 진단이 어떻게 확인되었으며, 어떻게 관찰되었는지를 상세히 기록한다. 실험방법이 주안점이 경우 재현 가능하도록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4) 결 과:
연구결과를 명료하고 논리적으로 나열하고, 실험인 경우 실측치에 변동이 많은 생물학적 계측에서는 통계처리를 원칙으로 한다. 표(Table)를 사용할 경우 논문에 표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 않으나, 중요한 경향 및 요점은 기술한다.

5) 고 찰:
연구의 결과에 대한 고찰 및 이에 연관된 다른 자료와 연관 해석한다. 새롭고 중요한 관찰을 강조하며, 결과의 내용을 중복 기술하지 않는다. 관찰된 소견의 의미 및 제약을 기술하며, 연구결과의 내용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결론과 연구의 목적을 연관시킨다. 마지막 문단에 결과의 요약 및 결론을 기술한다.

저자 점검사항(Checklist)

모든 원고는 다음의 점검 사항을 확인하고 저작권에 관한 동의서와 함께 제출한다.
일반적 사항

  • 원고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한다. 표지, 내표지(제목만포함),초록,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acknowledgments), 참고문헌, 표(Table).사진설명, 사진.
  • 원고는 A4(21x30cm)용지에 행간 1행의 여백, 좌단 및 상하에 3cm의 여백을 둔다.
  • 모든 원고는 초록부터 순서대로 쪽수를 기록하며. 초록이 후의 원고내에 저자의 성명이나 소속을 기록하지 않는다.
  • 영문약어는 최소화하며 이를 사용할 시에는 최초에 풀어 쓴 후 괄호안에 있는 약어를 기입한다.
  • 기계 및 약품의 경우 괄호안에 제조회사. 도시 및 국적을 기입한다.
표 지

  • 표지에는 다음의 사항을 기록한다. 논문의 제목, 전 저자의 성명과 주소를 한글과 영문으로 표기한다. 소속이 다른 다수의 저자인 경우에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진 기관을 먼저 기록하고 그 이외의 기관은 해당저자 이름에 어깨번호로 하고 소속기관을 번호순으로 표기한다.
  • 표지하단에 통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의 주소,전화 및 FAX 번호를 영문으로 기록하고, 연구비 수혜사항을 필요한 경우 기술한다. 내표지에는 논문의 제목만을 한글과 영문으로 기술한다. 저자의 이름 등은 일체 포함 시키지 않는다.
초 록

  • 한글원고의 경우 한글초록을 제 1쪽, 영문초록은 제 2쪽으로 하며, 영문원고의 경우는 순서를 반대로 한다.
  • 목적, 대상 및 방법, 결과, 결론의 항을 분리하여 기술한다.
  • 영문초록의 하단에 중요 색인단어를 3-5개 기입한다.
참고 문헌

  • 새 쪽(페이지)에 본문에서 인용된 순서대로 아라비아 숫자 번호와 함께 기록한다. 기록된 모든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반드시 인용되어야 한다.
  • 출판되지 않은 데이타는 참고문헌에 기술될 수 없으며 부득이 인용하고자 하는 경우 본문에 괄호하고 "(홍길동, 개인적 의견교환)" 혹은 "(홍길동, 미출간 데이타)"와 같이 기술한다.
  • 학술지명의 표기는 Index Medicus의 공인 약어를 사용한다.
  • 6인 이하의 저자인 경유는 전원을 기록하며, 7인 이상인 겨우는 최초 3인 이후에 "등" 및 "et al."로 끝을 맺는다.
  • 저자명은 한국인은 성과 이름, 외국저자는 성뒤에 이름의 첫자를 대문자로 쓴다.
  • 인용문헌의 쪽은 시작과 끝을 기록한다.
  • 참고문헌의 숫자는 원저는 30개 이하, 증례보고는 10개 이하로 한다.
  • 기술양식은 다음의 예와 같이 한다.
정기학술지의 논문

  • 김지영, 한부경, 최연현, 김재형, 검진센터에서의 선별 유방촬영술: 6년간의 의학적 감사, 대한방사선의 학회지 2003;49:137-142
  • Rahbar G, Sie AC, Hansen GC, et al. Benign versus malignant solid breast masses: US differentiation. Radiology 1999;213:889-894
단행본

  • Tavassoli FA. Pathology of the breast. 2n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1992:99-107
단행본내의 chapter

  • Stavros AT. Ultrasound of ductal carcinoma in situ. In: Silverstein MJ, ed. Ductal 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Baltimore, Md: Williams & Wilkins, 1997:135-158
표(Table)

  • 표는 영문과 아라비아 숫자로 기록하며 표의 제목을 명료하게 절 혹은 구의 형태로 기술한다. 명사와 형용사는 첫자를 대문자로 한다. 분량은 4줄 이상의 데이타를 포함하며 1쪽을 넘지 않는다.
  • 본문에서 인용되는 순서대로 하단에 풀어서 설명한다.
  • 약어 사용시 해당표의 하단에 풀어서 설명한다.
  • 표의 내용은 이해하기 쉬워야 하며, 독자적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사진(Figure)

  • 사진의 제출은 300 dpi 이상의 고해상도 JPG, TIF, GIF 등의 화일로 제출한다.
  • 동일번호에서 2개 이상의 사진인 경우, 아라비아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 (예:Fig.la.Fig.lb)
  • 같은 사진 번호안에 서로 다른 환자의 사진을 원칙적으로 포함시키지 않는다.
  • 그림(line drawing)의 경우 흰 바탕에 검은 선을 사용한다.
  • 기출판 사진을 인용할 경우 원저자의 서면 동의를 얻어야 한다.

원저 이외의 원고

일반적사항 및 점검사항은 원저에 준한다.
1. 종 설

종설은 특정제목에 초점을 맞춘 고찰로서 편집위원회에서 위촉하여 게재한다.
2. 증례보고

  • 초 록 : 영문초록은 150단어 이내, 한글초록은 400자 이내로 한개의 문단으로 하며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결론 항을 분리하지 않는다.

  • 서 론 : 서론이라는 제목없이 증례와 연관된 일반적 배경 및 의의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 증례보고 : 임상소견은 영상진단에 직접 관계있는 사항만 국한하여 기술한다.

  • 고 찰 : 증례가 강조하고 있는 특성부분에 초정이 맞추어져야 하며 장황한 문헌고찰은 피한다.

  • 참고문헌 : 10개 이내로 한다.

  • 3. 임상화보

    임상화보는 사진과 이의 설명을 통하여 내용을 전달하는 것으로, 이는 독창적 원저와 달리 사진을 통한 교육에 그 주목적이 있으며, 학술대회장에서의 학술전시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이의 형식은 초록, 서론, 화보, 참고문헌, 사진설명의 순으로 하며 참고문헌은 5개 이내, 사진의 숫자는 30개 이내로 한다.
    4. 포커스

    특정 주제에 대한 고품질의 사진이나 표와 함께 짧고 적절한 요약으로 독자에게 교육적 효과를 준다(초록 생략, 2개 이내의 사진이나 표, 5개 이내의 참고문헌, 2 페이지 이내의 최종 인쇄본).
    5. 편집자에게 보내는 글

    학회지에 출판된 특정 논문에 대한 건설적인 비평 또는 의견, 혹은 방사선과 의사의 일반적 관심사항이나 학술분야 특정주제에 관한 개인적 의견을 서술할 수 있다.